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 온라인 비즈니스/쿠팡 로켓그로스 창업기

쿠팡 로켓그로스 생존기 - 2편. 대표 썸네일 바뀌면 매출이 달라질까?

반응형

쿠팡 로켓그로스 생존기 - 2편. 대표 썸네일 바뀌면 매출이 달라질까?

✅ 쿠팡 로켓그로스 생존기 - 2편 썸네일 하나 바꿨는데, 클릭률은 올랐지만...

이번 글에서는 쿠팡 썸네일을 바꾸고 나서 클릭률과 매출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쿠팡에 상품을 등록하고 광고까지 집행했지만, 매출은 좀처럼 오르지 않았습니다.

 

하루에 광고비는 3만 원씩 꾸준히 나가는데, 일주일에 겨우 한 개 팔릴까 말까한 상황이었죠.

가장 먼저 바꿔보기로 한 건 썸네일이었습니다.

📌 목차

✅ 1. 왜 썸네일을 바꾸게 되었을까?

처음 광고를 시작하고 일주일 동안 기대한 만큼의 성과는 전혀 없었습니다.

클릭도 거의 없었고, 겨우 한두 개 팔릴까 말까한 수준이었죠.

 

하루에 광고비만 5천원씩 나가는 상황에서 가장 먼저 의심한 건,

고객이 처음 보는 이미지인 썸네일이었습니다.

 

처음엔 등록만 잘하면 팔릴 줄 알았지만, 현실은 달랐습니다. 수많은 상품 사이에서

고객의 시선을 끌지 못하면 클릭조차 얻지 못하는 구조였고, 썸네일은 그 시작점이었습니다.

1편. 상품 등록했는데 안 팔려요? 👉

 

쿠팡 로켓그로스 생존기 - 1편. 쿠팡 상품 등록하면 다 팔릴까?

✅ 쿠팡 로켓그로스 생존기 - 1편 쿠팡 상품 등록했는데 안 팔려요이 글에서는 상품 노출, 클릭, 구매로 이어지지 않는 구조적인 이유를 분석하고, 셀러들이 초기부터 체크해야 할 핵심 전략들을

star.into-world.kr

 

✅ 2. 어떤 방식으로 변경했는가?

초기에는 도매꾹이나 1688에서 가져온 이미지만 사용했는데, 너무 평범했고

경쟁 상품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이후 대표 썸네일에 직접 문구를 넣고, AI로 만든 이미지까지 활용해봤습니다.

예를 들어 “야구모자 1+1”, “가족 꿀잠 베개”, “거북목, 불면증”처럼 고객이 바로 반응할 만한 키워드를 시도했습니다.

 

이미지를 단순히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클릭할 수밖에 없는 요소가 무엇인지 계속 실험했습니다.

텍스트 강조 위치, 글자 크기, 배경 색상까지 세세하게 조절해가며 테스트했죠.

테스트 요소 변경 전 변경 후
이미지 출처 도매 이미지 AI 제작 이미지
텍스트 없음 제품 특징 강조 문구 삽입
구성 수 1장 고정 5장 구성 + 대표 썸네일 강조

✅ 3. 클릭은 늘었지만 매출은 그대로

썸네일을 바꾸고 나니 광고 소진 속도가 달라졌습니다. 기존엔 하루 1만 원도 다 못 쓰던 광고비가,

바꾼 뒤엔 하루에 2만 원, 3만 원까지도 빠르게 소진됐습니다.

 

이는 곧 클릭이 증가했다는 의미였죠.

하지만 클릭만 늘고, 전환율에는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예를 들어 퀄팅베개는 15개가 팔리긴 했지만 광고비가 매출의 70%를 넘었고,

수수료와 부가세까지 제하면 손해였습니다. 상품이 팔려도 이익은커녕 마이너스였던 셈이죠.

 

✅ 4. 썸네일만 바꿔선 안 되는 이유

썸네일은 분명 클릭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이었습니다. 하지만 클릭 이후의 흐름, 즉 상세페이지나

가격, 후기, 제품 신뢰도 등 전환 요소가 갖춰지지 않으면 구매로 이어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썸네일로 클릭은 늘었는데, 구매로 이어지지 않으니 광고비만 더 많이 지출되는 결과가 되어버렸죠.

클릭률 상승이 곧 매출 상승이 아니라는 걸 확실히 체감했습니다.

3편. 상세페이지 리뉴얼 실험 결과 👉

 

쿠팡 로켓그로스 생존기 - 3편. 상세페이지 리뉴얼, 직접 해본 결과

✅ 쿠팡 로켓그로스 생존기 - 3편 상세페이지를 바꿨더니, 매출 소폭 상승상세페이지를 처음 만들 때, 미리캔버스로 초안을 잡는데만 4시간 30분이 걸렸습니다. 그렇게 4개 제품을 완성하는 데 일

star.into-world.kr

 

✅ 5. 셀러로서 얻은 교훈

썸네일은 마케팅의 입구일 뿐, 전환은 그 이후의 설계에 달려 있습니다.

아무리 클릭을 유도해도 상세페이지가 신뢰를 주지 못하면 구매로 이어지지 않죠.

 

이후 저는 상세페이지, 키워드, 가격 구성 등 전체 구조를 점검하기 시작했습니다.

썸네일 하나만으로는 절대 완성될 수 없는, 판매 구조의 일부일 뿐이라는 점을 직접 경험하며 배웠습니다.

 

썸네일을 바꿔봤다.
클릭은 늘었지만, 효과는 미미했다.

 

하나 바꾼다고 달라질줄 알았는데,

결국 매출은 썸네일 하나로 만드는게 아니였다

 

여러 요소들이 함께 작동해야 한다는 걸
반복된 실패를 통해 깨달았다.

반응형